If the green days come to me
도전하는 모든 것이 아름답다-안철수 본문
삶,한가운데....
도전하는 모든 것이 아름답다-안철수
숲 길
2010. 5. 17. 17:32
도전하는 모든 것이 아름답다
컴퓨터 보안업게 슈바이처-안철수
|
 |
|
 |
실패한 사람에게도 기회를 주는 사회가 되자.
|
|
|
|
실패한 사람에게도 기회를 주는 사회를 만들자고 주장하는 안철수. 미국 실리콘밸리의 20대 스타 창업자들의 성공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며, 실패하더라도 그 경험이 자신의 자산이 되고 다른 창업자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신념이 있기 때문이다.
|
 |
스스로의 가능성에 기회를 주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값진
일이다.
|
|
|
|
그는 의대공부 14년, 프로그래밍 공부만 10년을 했다. 효율성만 따지면 실패한 인생을 산 셈이다. 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효율적인 측면으로만 평가될 수 없다. 삶은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그 속에서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야 말로 가장 의미있는 일이다.
|
 |
“나를 만든 건 우리 동네 작은 도서관이다.” |
|
|
|
빌게이츠의 말처럼 그도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어린 시절 60명 중 30등을 할 정도로 공부는 잘 못했지만 책은 활자중독증이라 할 만큼
많이 읽었다고 한다. 그에게 책은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열쇠이며
모든 물음의 해답을 주는 스승이다. | | |
|
 |
커리어넷_ 요즘 아이들이 가장 닮고 싶은 인물 중 한분이신데, 어린 시절 꿈은 무엇이었나요. |
|
|
안철수_아주 어릴 때부터 과학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인류를 행복하게 할 훌륭한 발명품을
만드는 것이 소원이었습니다. 좀 더 자라서는 뭐든지 만드는 것을 좋아했어요. 특히 저는 남자 손치고는 작고 고운(?)손을 가졌기 때문에 섬세한 공정이 필요한 일에 재주가 뛰어날 수 있었어요. 그래선지 항상 제 손엔 칼에 베인 상처로 성할 날이 없었습니다. |
그러나 전 고등학교 때 의사인 아버님이 말씀은
없으셨지만 의과대학 진학을 바라신다는 것을 짐작해 의대
진학을 결심했습니다. 부모님께서 제게 얼마나 많은 것을
무조건으로 베풀어주셨는지를 생각하면서 그런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평생 아버지처럼 의사로 살 줄 알았는데 의대 박사과정 때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백신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 계기가 돼 의사를 그만둘 땐 오히려 제 자신이
놀랐습니다. 하지만 매순간 열심히 살다 보니 다른 길이 보였고 더 의미 있고 재미나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하다보니 여기까지
오게 됐습니다. |
|
 |
 |
커리어넷_ 다양한 분야에 이력을 가지고 계시는데, 교수님이 걸어온 삶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
|
|
안철수_저는 인생에 대해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 현재 주어진 일에 충실한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하는 일과 무관하게 의대 14년, 프로그래밍 10년을 공부했습니다. 어찌 보면 아주 비효율적인 삶을 산 셈이죠. 그런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은
어디론가 사라지지만 삶의 태도는 남기 때문입니다.
제가 죽고 나서 제가 없을 때와는 뭔가 다른 면이 남아있기를 바랍니다. 단순히 내 이름 석 자가 남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일을 해서 삶의 흔적이 남겨지고 싶기 때문입니다. 더 잘할 수 있는 일보다는 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커리어넷_ 교수님이 보시는 21세기 인재상은 무엇입니까? |
|
|
안철수_현대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다른 분야에 대한 상식과 포용력을 가진 인재가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한 사람의 천재가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자기 분야의 상식만 가지고는 아무런 성과도 낼 수 없습니다. 다른 분야에 대해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 포용력을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그 다음에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력이 아무리 좋아도 다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습니다. 세 번째는 앞으로의 인재는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져야 합니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일이 잘못되면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립니다.
그러나 내 잘못이 전혀 없어도 잘못되는 경우는 반드시 생기며 그때마다 '나도 절반은 책임이 있지
않을까'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잘되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징은 잘못된 것의 절반 책임은 자신에게 있고 반드시 그것을 교훈으로
삼으려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끊임없이 공부하는 자세도 중요합니다. 세상에는 똑똑한 사람도, 노력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
 |
커리어넷_ 한국의 빌게이츠라고 불리는데 의외로 컴퓨터를 독학으로 하셨다고 들었습니다.
독서가 유일한 취미시라는데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자극제가 된 것은 끊임없는
독서인가요. |
|
|
안철수_저는 좋은 책을 만나면 밤을 새워가며 읽습니다. 이 세상 사람들이 느끼고 경험한 모든 것들이 책 속에 녹아들어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언젠가부터 미지의 세계로 들어갈 때엔 항상 먼저 책을 통해서 그 세계를 간접 경험하는 원칙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전문 서적을 통해서는 관련 전문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소설책을 통해서는
다양한 사람들을 접할 수 있었어요. 세상을 살아나가면서 교과서대로 하면 안 된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을 간혹 보게 되지만, 저는
그 말에 찬성하지 않습니다. 지혜와 행동의 기준을 얻는 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여전히 교과서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저는 책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배웠고, 회사를 세운 후에도
경영에 필요한 많은 지혜를 책에서 얻었으며, 그것을 잘 적용하여 성공한 경우도 많았습니다. |
커리어넷_ 교수님이 평소 존경하거나 닮고 싶으신 롤 모델이 있으신지요. |
|
|
안철수_존경하는 사람이 몇 사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존경할 만한 사람이 많습니다. 교수로서 롤 모델 중 한분은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의 랜 로디쉬 교수입니다. 그는 현업에서 학생들의 창업을 도와준 케이스가 몇 백건이나 되며 마케팅 분야에서 학문적으로도 유명한 분입니다. 학생들이 제시하는 사업계획이 마음에 들면 그 자리에서 도전해보라며 창업자금을 수표로 빌려주기도 합니다. |
커리어넷_ 앞으로 더 하시고 싶으신 일은 무엇이신지요. |
|
|
안철수_지금까지 제가 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중소·벤처기업에서 일하는 경영자 및 직원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주고 조언을 해줌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데 일조를 하고
싶습니다. 안철수연구소 내에서는 CLO(Chief Learning Officer)로서 다른 회사들에서도 전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정립해나가고 있습니다. |
제가 생각하는 CLO의 개념에는 조직 전반적인 교육 및 경영판단에 대한 조언은 물론이며 경영자나 직원 개개인이 스스로 생각하는 커리어 목표를 들어보고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지를
알려주는 역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종의 '프로페셔널 커리어 어드바이저'인 셈이죠. 이러한 교육시스템, 경영에 대한 조언 및
커리어 어드바이저의 세 가지가 모두 갖추어질 때 현실 상황에서 제대로 된 대응이 가능합니다.
당분간은 이런 활동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
커리어넷_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지요. |
|
|
안철수_사람의 일생에서 청소년 시기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 시기에는 자신이 해야 할 일과 결정해야 할 일들이 무척 많습니다. 전망이 좋은 학과나 유명한 대학에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그리고 어떤 일을 잘 할 수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스스로 택하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잘할 수 있는 일이 일치하는 분야를 택하는 것이죠. 무조건 전도유망하다고 하는 것을 쫓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분야를 선택하고 노력한다면 평생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젊은이들 중에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상대적으로 나는 잘하는 게 없다고 실망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모든 사람들은 나름대로 각기 독특한 어떤 재능의 조합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자기의 약점을 보완하는 데만 모든 노력과 시간을
할애 하느라고 정작 자신의 재능을 계발할 시간은 전혀 쓰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자기가 어떤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를 깨닫고 그 재능을 계발하는데 끝없는
노력을 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커리어넷 인터뷰 중에서-
|
|
 | |
|
 |
|
|
 |
학력 -서울대 대학원 의학박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공대 공학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와튼 스쿨 경영학석사
주요경력 -前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및 의예과 학과장 -前 안철수연구소 대표이사 -前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前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회장, 벤처기업협회 수석부회장 등 역임 -現 POSCO 이사회의장 -現 안철수연구소 이사회의장 및 CLO -現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정문술석좌교수
수상경력 -2002.10. 동탑산업훈장 -2003. 2. ‘제1회 한국윤리경영대상’ 투명경영 부문 대상(신산업경영원)
저서 -「행복 바이러스」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CEO 안철수, 영혼이 있는 승부」이외 다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