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he green days come to me
화장품 성분알기 본문
전성분이란..
화장품을 만드는 원료로
광고에서 이야기하는 각종 추출물과 효능 성분만으로 만들어진 것 같지만
실제 해당 성분은 1%도 포함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라 한다.
위의 그림에서 [성분]을 보면되고.. 함유량 순서대로 적혀있다고 한다.
뒤로갈수록 적은 양이 포함되어있으나 뒤에 있는 것들은 큰 차이는 없다고 한다..
아래 피해야할 성분들을 기록해두겠지만..
번거롭더라도 나의 피부를 꼭 확인이 필요하며,
이것도 귀찮다고 하시는 분들은.. 유기농 인증 받은 유기농 화장품을 쓰시는게 좋을 것 같다.. ^^;
보통 일반적인 기초 화장품의 9가지 원료로는..
1. 물 (보통 정제수로 표현됨)
2. 유성원료 : 흡수력을 담당 (오일류, 왁스류, 고급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등등)
3. 계면활성제 : 두 물질의 경계면에 흡착해 성질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물질 (유화제, 가용화제, 분산제, 기포제, 세정제 등)
4. 보습제 (폴리올)
5. 폴리머 : 점도유지, 제품의 안정성 유지하기 위해 쓰는 것
6. 색소
7. 방부제
8. 향료
9. 효능원료 : 아주 극소량 첨가됨 (많은 양이 첨가되면 의약품임)
위의 빨간색 3가지 성분에 주의해야하며 아래에 나온 것들 대부분이 이들것이다..
* 반드시 피해야할 20가지 성분들
발암성 의심 성분
1. 아보벤젠 (파르솔 1789, 부틸메록시디벤조일메탄) : 햇볕과 만나 암 유발
2.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프로페놀, 이소프로페놀, 러빙 알코올) : 린스, 바디스크럽, 핸드로션, 향수 등에 있음
3. 소디움 라우릴황산염 & 소디움 라우레스 황산염 : 화장품, 치약, 헤어컨디셔너, 샴푸 등에 사용됨
4. 트리에탄올아미 : 클렌징 제품의 기본성분
5. 폴리에틸렌글리콜 : 화장수, 크림, 샴푸등의 보습제, 계면활성제로 사용
6. 합성착색료 (황색4호, 황색 204호, 적색 219호, 적색 202호)
7.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 화장수, 유액, 선크림 제품에 사용됨
8. 소르빈산 : 크림에 사용됨
9. 호르몬류 (에스트로겐, 난포호르몬, 에스트라지올, 에티닐에스트라지올)
10.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 탈모유발, 유전자 이상
환경호르몬 의심 성분
1. 파라벤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 : 종류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이며, 화장품의 대표적인 방부제이다.
2. 트리클로산 : 간, 신장에 독성유발
3.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4. 옥시벤존 (벤조페논-3)
알레르기 유발 성분
1. 이미다졸리디닐 유레아, 디아졸리디닐 유레아, 디엠디엠 히단토인 : 피부염 주 원인
2. 미네랄 오일 : 피부 자가 면역성 저하, 독서배출 능력 저하, 여드름 유발
3. 티몰
4.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5. 인공향료 : 색소침착, 현기증, 구토 등
6. 페녹시 에탄올 : 마취작용 함
요렇게 20가지 성분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들이다..
성분명 한번 참 어렵다.. 괄호 안에 적힌 것들은 다른 이름이다..
나도 아직 다 못외워 일부만 확인하고 구매하고있지만..
일단 가장먼저 확인하는 것은 파라벤이 들어있나 안들어있나이다.. ^^;
그 외에는 아래의 표를 가지고 다니면서 대충이라도 확인하고
정 안되면 사와서 집에서 확인 후 반품하곤한다.. ^^;;
조금 귀찮은 일이지만.. 나의 피부를 위해서라면 그 정도쯤이야.. ㅎ
지금 가지고 계신 화장품 중에 해당 성분이 있는지 확인해보셔요~~^^;
(우리나라 제품 대부분은 포장 케이스에 적혀있어 확인이 쉽지는 않아요~)
전.. 그러한 것들은 다 버리진 못하고 발에 바르고 있지요..ㅋ

(출처: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세라피나 지식)
'알아두면 좋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몸에 유익한 생활정보 50가지 (0) | 2010.01.03 |
---|---|
집안에 두면 좋고 나쁜 35가지 (0) | 2010.01.03 |
소금 활용법 (0) | 2009.12.09 |
생활상식 (0) | 2009.11.23 |
김재동의 대중앞에서 서는법 강의 (0) | 2009.10.29 |